번역자료(FS)
[번역] Level-D B767-300ER 비행 문서
공군483A
2009. 6. 25. 23:24
본글에 대해서
1. 본글의 저작권은 일본 simcruise에 있으며 http://www.simcruise.com/lvld767/ 에서 멋대로 퍼온글입니다.
내용이 너무 좋아서 공유하고 싶은 맘에 어설프지만 직접 번역한 글입니다.
2. 그림은 simcruise 사이트에서 직접 링크되기 때문에 약간 페이지 로딩에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원문 http://www.simcruise.com/lvld767/
지금부터 Level-D 767-300ER (LDS767) 애드온을 사용해 도쿄국제공항(하네다 공항) → 칸사이 국제공항까지 비행을 해보겠습니다. 지금부터, 여러 가지를 소개할 생각입니다. 이 강좌에서는 매뉴얼이나 첵크리스트 등을 참고로 해서, 본 상용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초/중급레벨 목표로 그 기본 조작을 실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 주된 애드온은 FS2004 , LDS767, 오버랜드사 민나노공항시리즈 등입니다. 오늘은 날씨는 맑습니다. 그럼 바로, 기체외부점검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
주로 기체에 파손이나 흠집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F1View Utility」라고 하는 프리소프트를 사용해서 기체를 키 또는 마우스 조작해서 자유자재의 각도나 배율로 볼 수 있습니다. 레벨D767과 같이 Flight1의 애드온입니다, 서풀리 작동 보증은 할 수 없지만, 꽤 사용하기에 편리한 애드온입니다. 이번 기회에 부디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F1 View Utility by Flight1
|
 |
엔진을 살펴봅시다. 이번 비행에서는 제너럴일렉트릭사의 대형 엔진의 파워로 비행해보겠습니다. 그럼 메인 기어 점검에 들어갑니다. |
 |
타이어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합니다. 에일러온등 제어기기 부근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특별히 기어 부근을 점검할 때는 머리가 기체에 부딪히지 않게 조심합시다.
|
 |
사용하고 있지 않는 도어나 점검구가 제대로 꼭 잠기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날개부분에 손상이나 흠집이 없는지를 확인합니다.
|
 |
반대편도 똑같이 제어기기 패널 표면 부근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기체 표면, 동체, 창문, 안테나, 랜딩 기어에 손상등을 확인합니다. |
 |
지금부터 하네다 공항→간사이 공항까지 비행을 하겠습니다. 현재 하네다 공항의 중형 게이트 19~23에 있습니다. 조종석에는 아직 전원조차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아래 그림은 이 기체의 오버헤드 패널입니다. 우선, 배터리스위치(BAT)를 on으로 합니다. 전원의 종류에는 GRD(EXT)파워, APU(보조 전원), ENG-GEN(엔진 제너레이터), 각각 있습니다만, 현재, 엔진에 시동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임으로 지상 외부 전원 GRD(EXT)파워를 사용합니다. |
 |
BAT: on STBY POWER : AUTO
오버헤드 패널에 있는 배터리 스위치를 on으로 합니다. 스탠바이 파워 선택 장치가 AUTO 위치인 것을 확인합니다.
|
배터리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외부전원(EXT파워)을 받기 위해서 지상요원을 호출합니다. 아래 그림의 GND CALL 부분을 누르면 메뉴가 열립니다.거기서, 「1」번 「Connect external power」에 해당하는 키보드 1번을 누르면 잠시 후에, 파워 공급원의 선택EXT가 「Avail」라고 표시되고, 그것을 on으로 하면, EXT파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똑같이 「2」번 「Connect external air」도 접속받습니다.이것을 접속받는 것으로 엔진이나 보조 전원등이 기동하고 있지 않아도 에어가 공급되고, 기내의 에어콘을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
 |
지상 요원을 호출
Connect external power Connect external air |
 |
EXT AVAIL : on |
계속해서, EXT에어의 접속이 완료되면 왼쪽 아래의 그림과 같이 에어 미터가 상승합니다.각 bleed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아래 그림의 pack 컨트롤을 AUTO로 합니다. 그러면 에어컨을 기동합니다. 또한 이후에 APU(보조 전원/보조 에어)를 스타트시킬 예정이므로, APU bleed 도 on으로 해 두면 좋습니다. 미리 on으로 해두면 APU 기동하면서 자동적으로 APU로부터 에어가 공급되게 됩니다.
|
 |
ISO VALVE: on (L/C/R ISLN) APU BLEEDS : on (아래 3개중 중간버튼) |
 |
PACKS : AUTO TRIM AIR : on Recirculation Fans : ON |
APU(보조 파워)를 시동 하게 합니다. 시동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OFF의 위치로부터 START의 포지션에 돌립니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on의 위치로 돌아갑니다. 시동할 때까지, 당분간 기다립니다.
|
 |
APU : START |
다음은 연료 설정입니다. 「Alt」키로 FS의 메뉴를 열어서 연료 설정을 실시합니다.이쪽에서 간편하게 연료 플랜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번 비행에서는 중앙 탱크에는 연료를 넣지 않습니다. 좌우의 탱크에 50%씩 넣어 둡니다.이 문서대로 비행을 진행하 실 분은 그대로 따라 주세요. 필요한 설정을 완료하면 OK를 클릭해 연료 설정을 완료해 주세요.또한, 더이상 연료를 늘리거나 하면 총중량이 증가하므로, 나중에, 이 강좌의 내용과는 다소의 오차가 생깁니다. 이 기체의 ZFW(제로연료웨이트)는 240입니다.
|
연료 펌프를 on으로 합니다. 중앙 탱크에는 연료가 들어가 있지 않으므로, 거기는 OFF인채입니다.
|
 |
FUEL PUMPS : ON |
Logo 라이트와 Nav라이트를 on으로 합니다. 기어나 플랩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
 |
LOGO : on NAV : on |
 |
EMERGENCY LIGHTS :ARMED |
 |
Landing Gear : DOWN
|
 |
FLAPS : UP
|
 |
AUTO BRAKE : RTO |
에어 브레이크가 닫힌(CLOSED) 인 것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트림의 설정은 잠시후 실시합니다만, 일단 여기에서는 녹색 영역에 위치 한것만 확인합니다.
|
 |
AIRBRAKE : CLOSED |
 |
STABY TRIM : GREEN RANGE
|
 |
HYDRAULIC PUMPS : on HYDRAULIC DEMANDS : AUTO
|
 |
「Landing ALT」를 도착지의 고도로 맞춥니다. 기내의 기압은 메뉴얼로 변경하지 않는한 아웃 플로우 밸브에 의해서 완전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
 |
보이스레코더 테스트를 실시합니다. 아래 그림의 스위치를 약4초간 계속 누릅니다. 그리고, 테스트 소리가 나는 것을 확인합니다.
VOICE Recorder : TEST |
EQUIP COOLING이 AUTO의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
 |
EQUIP COOLING : AUTO |
YAW DAMPER가 각각 on인 것을 확인합니다.
|
 |
YAW DAMPER : on |
IRS를 세트합니다. 이것은 기체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요구하는 것으로, 지금부터 활약할 FMS(비행 매니지먼트 시스템)가 다양한 계산을 해 줍니다. 아래 그림은 오버헤드 패널에 있는 IRS모드셀럭터입니다. 이것을 아래와 같이 3개의 셀럭터를 각각 NAV에 세트합니다. 그후, 왼쪽 아래 그림과 같이 되면 그 3개의 셀럭터를 각각 ALIGN에 세트합니다. 그러면 오른쪽 아래 그림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IRS세트에는 5~10분을 필요로 할 것입니다.
|
 |
IRS모드셀럭터가 OFF 포지션에 있습니다. |
 |
3개의 IRS모드셀럭터를 NAV 포지션에 세트합니다. |
 |
3개의 IRS모드셀럭터를 ALIGN 포지션에 세트합니다. 이 상태로 현재의 기체의 위치 정보를 FMC에 입력합니다. |
 |
IRS의 세팅은 이것 뿐만이 아닙니다. FMC/CDU(비행 매니지먼트 컴퓨터/컨트롤 디스플레이 유닛)에 최신의 현재 위치를 입력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지구상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조사하고, 하나씩 하나씩 수치를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왼쪽 아래 그림은 FMC/CDU 입니다. 그 화면의 윗쪽에 「LAST POS」라고 있어 그 아래에 위도·경도 같은 수치가 있습니다. 그 바로 우측의 버튼 있는데 그것을 LSK1R 라고 부릅니다. 그것을 누르면 scratch pad에 복사됩니다. 계속해서 그것을 LSK5R를 누르면 복사된 내용이 그대로 입력됩니다. |
 |
CDU를 열어서 IDENT 페이지에 액세스 합니다. IRS의 세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만, scratch pad에는 「VERIFY POSITION」라고 하는 메세지가 도착합니다. 재빨리 이 메세지를 지워 포지션을 입력합니다. 우선, 인풋키의 「CLR」을 눌러서 메세지를 지웁니다. FMC에 있는 LSK1L을 눌러서 다음의 페이지를 엽니다. 다음에 POS INIT에 있는 LSK6R을 눌러 다음의 페이지를 엽니다. |
 |
「CLR」키를 눌러 scratch pad의 메세지를 지워 둡니다. |
 |
LSK1R을 누르면 scratch pad에 위도경도가 복사되어 표시됩니다. |
 |
LSK5R을 누르면 「SET IRS POS」의 아래에 그 위치 정보가 입력됩니다. 그것과 동시에 REF AIRPORT에는 현재의 공항의 RJTT를 입력해 두었습니다.인풋 키를 사용해 RJTT 를 입력해 나가면 scratch pad에 RJTT 라고 표시됩니다.그것을 LSK2L에 붙혀넣기하면 왼쪽 그림과 같이 됩니다. |
대략 5~10분 후, IRS의 튜닝이 완료되기 때문에 오버헤드 패널의 IRS모드셀럭터를 각각 ALIGN 상태에서 NAV에 다시 세트합니다. 그러면 EHSI등의 디스플레이에 현재 위치가 세팅 된 상태가 반영됩니다.
|
 |
ALIGN→NAV
IRS모드셀럭터의 윗부분에 수치가 보이는데, 거기에 최근 좌표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원래, 거기에 위치정보를 입력해도 되지만 이번에는 FMC를 사용해서 IRS세팅을 실시했습니다. |
여기에서는 FMS/CDU에 비행 계획 루트를 읽어들입니다. 또한 비행을 하기 위한 연료 소비나 각 중량의 계산을 필요로 합니다. 몇몇 수치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나머지는 FMS에 의해서 이 기체의 목적지까지의 소비 연료나 총중량등에서의 이륙 속도나 최고 비행 고도를 현위치으로 계산해 줍니다. 이번 사용하는 기체는 승객이 만석 때에 비해 1/3정도의 ZFW(제로연료웨이트)가 240기체입니다. 그럼, 비행 플랜 루트을 불러 보겠습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하네다 공항→칸사이 공항의 비행 플랜 루트는 Level-D767-300ER용 비행 플랜 루트의 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파일명은 「RJTTRJBB」입니다.
|
 |
디스플레이 하단의 ROUTE라고 쓰여진 쪽에 있는 LSK6R을 눌러 RTE1페이지에 진행합니다. |
 |
인풋 키를 사용해 「RJTTRJBB」라고 scratch pad에 입력합니다. 입력이 끝나면 「CO ROUTE」라고 쓰여진 쪽의 LSK3R을 눌러 붙혀넣습니다. 그리고, 「ACTIVATE」근처의 LSK6R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의 「EXEC」램프가 점등됩니다. 그 「EXEC」를 눌러서 비행 플랜루트를 확정합니다. |
 |
램프가 점등된 EXEC를 눌러 비행 플랜루트를 확정시킵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EHSI디스플레이에 비행 플랜의 루트가 표시되게 됩니다. |
 |
파란 점선이 액티브한 빨간색선이 됩니다. |
 |
다음은 펑션모드키의 「DEP ARR」을 눌러서 출발과 도착 공항의 활주로를 선택합니다. |
 |
왼쪽 그림와 같은 페이지가 표시되었습니다만, 이번 이륙에 사용하는 활주로는 34R은 현재 페이지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펑션키의 하단에 있는 「NEXT PAGE」를 눌러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NEXT PAGE」를 누릅니다. |
 |
RW34R 옆의 LSK1R을 누릅니다. |
 |
왼쪽 그림은 「RUNWAYS 34R」옆의 LSK1R 을 눌러서 루트 확정 때와 같이「EXEC」의 램프가 점등된 것을 눌러서 활주로를 세트합니다. 이후 INDEX라고 쓰여진 LSK6L을 누릅니다. |
 |
활주로 선택시의 EHSI디스플레이입니다. 이번은 SID를 선택하지 않습니다. 루트상에 포함했습니다. |
 |
RJBB ARR 옆의 LSK2R 를 누릅니다. |
 |
ILS-06 옆의 LSK1R 을 누릅니다. |
 |
그리고, 램프가 점등된 EXEC를 눌러 유효하게 하면 왼쪽 그림와 같이 ILS-06 이라고 표시됩니다. 이 작업이 종료하면 LSK6R 또는 펑션키의 RTE를 눌러 ACT RTE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PREF INIT 옆의 LSK6R 을 누릅니다. |
 |
우선, ZFW 옆의 LSK3L에 240을 입력합니다. 이번 비행에서는 순항고도 34000ft 으로 하기 위해, CRZ ALT의 LSK1R에 「FL340」또는 「34000」라고 입력합니다. COST INDEX 는 「80」으로 합니다. 코스트인덱스의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기름을 팡팡 소비합니다. 설정을 완료하면 TAKEOFF에 LSK6R 을 누릅니다. 그 전에 이번 스로틀 리밋트를 TO-2로 설정해 둡니다. |
여기서 TAKEOFF REF의 설정을 하기 전에 스로틀 리밋트 설정을 실시합니다. 메인 패널의 랜딩기어 윗쪽에서 스로틀 리밋트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TO,TO-1,TO-2,CLB,CLB-1,CLB-2,CRZ,CON,GA등이 있는데 지금부터 이륙하는 상황에 있기 때문에, 지금상태로는 EICAS 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는데, 「TO」로 되어 있을겁니다. 이번은 거기에 아래 그림과 같이 2를 눌러서 「TO-2」로 설정해서 연료소비와 엔진부담을 경감할 수 있습니다.
|
 |
FLAPS에 해당하는 LSK1L 에 이륙시의 사용할 플랩각도 「15」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오른쪽에 V스피드가 표시될 것입니다. 이륙 속도는 EADI의 스피드 테이프에도 반영됩니다. |
 |
펑션모드키의 LEGS를 눌러 LEGS페이지를 엽니다. 그리고, 펑션모드키에 있는 「NEXT PAGE」혹은 「PREV PAGE」를 눌러 루트를 확인합니다. |
 |
지금부터 LEGS 페이지에서 「DISCONTINUITY」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여기서, 왼쪽 그림를 보시면 무언가 느껴지지 않습니까? 고도 10000ft 이하에서는 250노트 이내에서 상승합니다. 이것은 잠시 후에 VNAV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그러면, 계속 「DISCONTINUITY」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합니다. |
 |
NEXT PAGE 를 사용해서 3페이지쪽에 「DISCONTINUITY」가 있습니다. LSK5L의 빈공간이 그것입니다.이 「DISCONTINUITY」 를 연결하기 위해서 NEXTPAGE를 눌러 다음의 페이지(4/6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LEGS 4/6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윗쪽에 ROUTE DISCONTINUITY가 있습니다. 바로 아래 PEACH 의 LSK1L을 눌러 scratch pad에 복사합니다. 그리고, PREVPAGE를 눌러 이전 3페이지에 돌아옵니다. |
 |
LEGS 3/6페이지로 돌아왔습니다. 빈공간에 해당하는 LSK5L을 눌러서 붙혀넣습니다. |
 |
이제 「DISCONTINUITY」는 사라지고 루트가 연결되었습니다. |
 |
다음은 VNAV페이지에 이동합니다. |
 |
VNAV페이지를 열면, 「ACT MCP SPD CLB」라고 하는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상승시의 내용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LSK3L에「SPD TRANS」라고 있습니다.이것은 상승시에 고도 10000ft이하에서는 250노트 이내에서 비행해야 한다고 하는 속도 제한의 설정이 됩니다. 이것들을 확인해 둡니다. 또한 이것들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번은 이대로의 설정으로 비행합니다. 계속해서, VNAV 2페이지, 3페이지를 확인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이것으로 FMC/CDU의 기본적인 설정을 완료합니다. 아직 미기입 부분도 있습니다만, 이것으로 목적지까지의 비행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
지금부터는 푸시백&엔진 스타트까지 진행합니다. 승강구를 곧 닫을 것임으로 출발 사인이 되는 「ANTI-COLLISION」라이트를 점등시킵니다.
|
 |
ANTI-COLLISION LIGHTS : on |
Wing Anti Ice는 지상에서는 on으로 하지 말아 주세요. 그리고 엔진안티아이스는 건조하지 않는 상태로 바깥 공기가 대략10℃이하이면 on으로 합니다.
|
 |
WING-ANTI-ICE : OFF ENGINE-ANTI-ICE : AS Require |
카고 도어를 연 상태이면, 카고 도어를 닫고 카고 히트 스위치를 on으로 합니다. 윈도우 히트는 빙결이나 흐림을 막습니다.
|
 |
WINDOW HEAT : on
CARGO HEAT : on |
 |
HF RADIO :OFF |
드디어 승강구를 닫습니다. 승강구를 닫는 방법은 FS디폴트 키 혹은 오버헤드 패널로 승무원과 연락해 닫아 주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이미 승강구를 닫아 놓은 설정으로 이야기를 진행시킵니다. 물론, 카고·도어등도 닫습니다. 그리고, 도어가 열려있지 않은가 EICAS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합니다.
|
 |
NO SMOKING : on SEAT BELTS : on |
 |
드디어 푸시백&엔진 스타트에 착수합니다. 푸시백~택싱 요청을 하기 위해서 공항과 교신합니다.조금 전까지 그라운드스탭에게 접속받고 있던 「EXT power」와「EXT air」를 해제 요청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APU」가 기동 중이며 앞에 내용에서 오버헤드 패널에서도 확인했듯이 「APU GEN」에도 자동적으로 바뀌고 에어에 대해서는 「APU BLEED」가 on이기 때문에 각각 EXT를 단절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그전에 on이 되어 있던 「EXT GEN AVAIL」을 한번 더 눌러 OFF로 합니다. 그 후, 그라운드 스탭과 교신해 EXT를 각각 단절해 주십니다. 그리고,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푸시백를 합니다. |
 |
EXT GEN : OFF |
 |
Disconnect external power Disconnect external air |
 |
PACKS : Both OFF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해서 공조 설비에 이용되는 양쪽 팩·컨트롤 |
 |
Parking Brake : Release
|
 |
푸시백와 동시에 일단 한쪽의 엔진 스타트 스위치를 GRD로 합니다.
ENGINE START Switch : GRD |
그러면, 엔진·디스플레이에 N2미터가 상승합니다. 그 N2미터가 대략 18~20%에 이르면 연료 컨트롤 스위치(엔진 스타트 레버)를 on으로 합니다.
|
 |
상승하는 N2미터가 대략 18~20%에 이르면 연료 컨트롤 스위치를 on으로 합니다.
Fuel Control : on |
 |
계속해서, 다른편 엔진을 시동시킵니다. 엔진 스타트 스위치를 GRD에 돌립니다.
ENGINE START Switch : GRD |
 |
N2미터가 대략18~20%에 이르면 연료 컨트롤 스위치를 on으로 합니다.
Fuel Control Switch : on |
 |
엔진이 무사히 시동되면 GRD에 위치된 엔진 스타트 스위치가 AUTO의 포지션에 자동적으로 이동합니다. |
 |
그 후, APU(보조 파워 유닛)를 OFF로 합니다. 그 전에, 벌써 on이 되어 있을테지만, 「ENG GEN」(엔진·제너레이터)가 on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APU 를 OFF로 합니다. |
 |
APU : OFF
|
 |
기내 에어컨을 사용 재개하기 위해서 OFF로 하고 있던 팩 컨트롤을 각각 AUTO로 합니다. |
 |
동시에 푸시백이 완료되면, 다음은 택싱 준비에 착수합니다. |
드디어 택싱을 실시해 이륙 활주로로 이동할 것입니다. 푸시백이 완료되면 파킹 브레이크를 걸어 일시정지합니다. 그리고, 택싱라이트를 on으로 합니다. 지금부터, 러더 페달이나 컨트롤휠을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이 정상적으로 부드럽게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아래 그림의 유압 계통 디스플레이는 엔진 디스플레이로부터 표시 모드를 바꾼 것입니다. 이것을 참고로 하면서 확인합니다. 좌우 2개의 안쪽의 날개가 내리고 있는 것은 플랩각도를 50이상으로 했을 경우입니다.
|
 |
Parking Brake : on |
 |
TAXI LIGHT : on |
TCAS표시를 on으로 합니다. 연료 컨트롤 스위치의 후방에 있는 트랜스폰더 패널의 화살표 부분을 「TA」또는 「TA/RA」에 위치합니다. EHSI디스플레이에 녹색 또는 청색으로 「TA onLY」나 「TFC」 라고 표시되면 완료입니다.표시되지 않으면 아래 그림과 같이 메인 패널의 하부에 있는 「TFC」를 눌러 표시시킵니다.
|
 |
TA or TA/RA |
 |
TFC |
 |
ATC와의 교신에서 ATIS에 맞춥니다. 그리고, 공항 정보를 경청합니다. 이번 비행에서는 괘창한 날씨 1013hpa 기압이기 때문에, 왼쪽 그림와 같이 고도 설정에 29.92(1013hpa) 라고 되어 있습니다. 기압에 의해서 고도계에 차이가 생기는 일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
 |
VOR Freq : AUTO |
 |
그러면, 파킹 브레이크를 릴리스 하고 스로틀를 살짝 올리며 택싱을 개시합니다. 택싱 중에는 스로틀를 최대 40%이하로 실시합니다. 특히 최초로 기체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정지 마찰력 땜에 약한 출력으로는 움직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40% 가까이 출력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택싱중 속도는, 직선에서는 30노트 이내, 45도미만의 커브에서는 25노트 이내, 그 이상의 각도의 커브에서는 10노트 이내를 각각 기준으로서 실시합니다. 조언하지만, 임의의 커브에 대해 10노트 이내로의 주행이 좋을 것입니다. 또한, 택싱으로부터 이륙전까지의 플랩 각도는 1~5레벨까지가 좋다고 합니다. |
 |
PARKING BRAKE : Release |
 |
활주로의 앞에서 일시정지합니다. 그리고, 랜딩 라이트와 윙 라이트를 on으로 합니다. 지금부터, 이륙 허가를 받습니다. 활주로에 진입할 때는 센터라인에 얽매이지 않고, 가능한 활주로의 가장자리에 머무르는 것이 활주 거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좋다고 합니다. 랜딩 라이트와 윙 라이트를 on으로 합니다. |
 |
Landing Lights : on WING Lights : on |
 |
이륙 허가를 받아서 활주로에 진입했습니다. 지금부터 이륙을 시작합니다. 이륙 방식은 각각 스탠다드, 스태틱, 롤링 방식이 있지만, 이번은 스탠다드방식을 취합니다. 이번 이륙에서는 활주로에 들어가면 센타라인에 파킹 브레이크를 걸어 일시정지시킵니다. 각 설정이 완료되면, 우선, 스로틀를 약40%까지 올리며 파킹 브레이크를 릴리스 합니다. 그리고, 스로틀를 다시 70퍼센트까지 넣습니다.30노트 이상에서 MCP의 N1/TO/GA을 푸쉬 합니다. 그러면 TO(테이크오프)모드의 리밋트까지 자동으로 스로틀이 상승합니다. |
MCP의 설정을 실시합니다. A/T(오토 스로틀)을 ARM으로 합니다. HDG를 활주로의 방위로 세트 합니다. LNAV를 on으로 합니다. ALT는 여기에서는 12000ft까지 해둡니다.
|
A/T : ON LNAV : on HDG : SET RW ALT : SET
|
 |
CAUTION : RECALL
메인 패널의 왼쪽 그림의 부분 「RECALL」을 눌러서 EICAS디스플레이에 무엇인가 경고되어 있지 않은가 확인합니다. |
 |
다음은, 플랩과 Stablizer Trim의 설정을 실시합니다. 그것들은 이전에 CDU에 입력한 것을 이용합니다. CDU의 TAKEOFF의 페이지에서 확인합니다. 각각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플랩각도를 크게 하면 비교적 저속으로 떠오르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활주로의 길이가 짧은 경우나 기체가 무거운 경우에는 플랩을 많이 내리는것이 좋습니다. 스태빌라이저 트림의 값을 크게 하면 기체가 부상하기 쉬워집니다. 하지만 , 너무 크게 하면 상승한 순간부터 실속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녹색의 범위에 맞출 것을 추천합니다. |
 |
FLAPS : 5~20도
여기에서는, 예로서 플랩을 15도에 세트 합니다.
이 설정에서는 활주로 거리, 기체총중량(글로스 웨이트), 지상조건등이 고려됩니다. 비행기 중량이 비교적 경량이며 활주로 길이도 여유가 있으면, 플랩5도로도 이륙 가능하게 됩니다. |
 |
STABILIZER TRIM : SET
Stablizer Trim에 대해서, 메모리의 옆의 레버를 상하에 움직이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을 크게 하면 기체는 수평 안정판의 기울기에 의해 부상하기 쉬워집니다. 반대로 작게 하면 무거운 기체는 수평 안정판(수평꼬리의 파트)의 기울기에 의해 이륙 속도에서도 좀처럼 상승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물론 이륙 속도에서 컨트롤휠을 당기는 것으로 엘리베이터를 기울게해 상승시킵니다만, 확실히 그 때의 부상하기 느낌이 Stablizer Trim의 설정에 의해 달라집니다. |
 |
그러면, 진짜 이륙합니다. 파킹 브레이크를 넣은 채로 스로틀 레버를 약40%까지 넣어 양쪽 엔진이 똑같이 상승할때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합니다. 기체가 서서히 앞에 나아가고 있는 것을 보고, 이번에는 스로틀를 약70%까지 넣습니다. 점점 가속합니다. 그리고, MCP의 N1을 누르면 나머지는 오토 스로틀에 의해 자동으로 리밋트까지 제어되어서 갑니다. |
 |
대략 40%까지 넣어 파킹 브레이크를 릴리스 합니다. 그리고 기체가 전진하면 약70% 만큼까지 스로틀를 넣습니다. 점점 가속하려고 합니다. 다음에 MCP의 N1을 눌러 오토 스로틀에 의한 자동 제어로 스로틀 리밋트까지 도달합니다. 파일럿은 컨트롤휠을 잡아 러더페달로 활주로의 센타라인을 유지해 주행합니다. N1을 on으로 합니다. A/T(오토 스로틀)도 on인 것을 확인합니다. |
그 후, 오토스로틀로 바뀐 스로틀 윗부분을 RTO가 작동하지 않도록 손으로 쥐어 고정합니다. 80노트이상이 되면 약 400ft까지 EADI의 FMA가 N1로부터 스로틀홀드모드로 변경됩니다. 이때는 제멋대로 오토 스로틀이 움직이거나 하지 않습니다. 만약 이륙 캔슬을 할 경우는, 90노트로부터 V1까지 스로틀를 수동으로 아이들의 위치까지 2초이상 되돌립니다. 그러면, RTO에 설정하고 있었던 오토 브레이크가 유효해져 기체는 정지하게 됩니다. 이륙을 속행할 경우는, V1로부터 Vr(로테이션·스피드)에서 컨트롤휠을 당겨 기수를 올려 갑니다. 1초간 3° 의 비율로 약 18°∼20°까지 기수를 올려 갑니다. (최대 25°를 넘어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V2에서는 리프트·오프입니다. (지상에서 벗어나도록 합니다). 이제부터, 양쪽 엔진이 정상인 한 러더페달을 중심으로 되돌리고 컨트롤 휠로 에일러온을 제어해서 EADI의 FD의 지시에 따라서 계속해서 비행합니다. 또한, 엘리베이터, 스테빌라이저(stabilizer)로 세로방향도 FD의 지시에 따라서 계속해서 조종합니다. RTO에 설정한 오토 브레이크는 아륙후 자동적으로 OFF의 포지션으로 바뀝니다. |
 |
FMA에는 스로틀 홀드 모드로 바뀌었습니다. 여기로부터 약 400ft사이에서는 오토 스로틀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멋대로 RTO가 작동하지 않도록 파일럿은 스로틀를 현재로서는 고정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V1이 되면 RTO가 작동하지 않게 스로틀에 가져다 놓은 오른손을 떼서 컨트롤 휠을 잡습니다.
|
 |
V2를 넘으면 기체는 상승되어 그 다음은 컨트롤휠로 FD(비행·디렉터)의 지시에 따라서 조종을 실시합니다. 당분간은 속도를 V2+20노트(정도) 유지해 비행합니다. FD를 보고 상승하면 정확히 이 값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스로틀를 조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
Gear : UP
기체가 지상으로부터 완전하게 이륙을 완료하면 랜딩기어를 접습니다(UP포지션). 그 후, 잠시 후로 기어를 OFF의 포지션으로 옮깁니다. |
 |
대략 1000ft까지는 F/D에 따라서 비행을 계속합니다. 그 다음은 오토 파일럿을 사용합니다. LNAV와 FLCH, 그리고 LNAV와 VNAV에 의한 자동 조종을 할차례입니다. 다음은 상승입니다. |
 |
Gear : OFF
|
이제부터 상승(상승→순항까지)에 들어갑니다. 이륙하고 나서 잠시 후 EICAS디스플레이는 이륙 모드의 TO로부터 CLB로 표시가 바뀝니다. 이번 경우는 TO2로부터 CLB2가 됩니다. CDU의 스로틀 리밋트의 페이지를 보셔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만, 기체가 이륙하면 자동적으로 CDU의「ACT ECON CLB」가 유효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말해 기체는 TO(이륙 모드)로부터 CLB(상승 모드)의 스로틀 리밋트 변환을 자동적으로 실시했습니다. |
 |
FD를 보면서 컨트롤휠을 움직여서 기체를 조종 하고 있습니다. 고도가 약1000ft에 이르면 「AP ENGAGE」의「CMD」버튼중에 하나를 on으로 합니다. 이것으로 LNAV에 의해서 기체는 EHSI의 루트에 따라서 오토 파일럿을 개시합니다. 그리고 FL CH를 on으로 합니다. MCP속도는 240 으로 설정합니다. 기체는 그 지정 속도까지 가속하고 나서 상승합니다. 가속중에 EADI의 스피드 테이프를 참고해서 플랩을 올려 갑니다. 기본적으로 플랩을 올리는 것만으로 가속됩니다. |
FL CH : on A/P ENGAGE CMD : on
|
 |
FLAPS : UP
EADI의 스피드 테이프를 참고해서 서서히 플랩을UP해 갈 것입니다. |
 |
현재,1000ft부터 「FL CH」에서 속도와 수직 방향이 제어되고 있습니다. 대략 3000ft에 이르면 VNAV로 전환합니다. 지금부터는 VNAV가 FMC/CDU의 LEGS와 같게 속도와 고도를 제어해 갈 것입니다. 그러나, MCP ALT에 12000ft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12000ft까지 밖에 상승하지 않습니다. 그 후, 34000ft으로 설정해서 다시 VNAV에 의해서 상승시킬 예정입니다. |
 |
대략 3000ft 그리고 VNAV를 on으로 했습니다. 이것과 동시에 FL CH의 램프가 사라져 해제됩니다. 여기에서는 VNAV가 MCP ALT의 고도까지 LEGS에 따라서 제어합니다. |
 |
CDU의 LEGS에서 확인해보면 10000ft이상에서는 250노트 이내의 속도 제한이 사라집니다. 현재,MCP의 ALT를 12000ft으로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이 기체는 10000ft를 넘으면 250노트이상으로 가속합니다만, 12000ft에 이르면 수평비행을 실시합니다.이후에,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그대로 비행합니다. 목표 고도는 34000ft 그러므로 12000ft에 도달하면 그 이상의 ALT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VNAV에 의해서 한층 더 상승시킵니다. |
「MCP ALT」에 12000보다 큰 수치를 넣습니다. 서쪽 방향으로 날고 있기 때문에 고고도에서는 천단위값이 짝수가 되도록 설정합니다. 예로서 28000,30000,32000,34000ft,36000ft등입니다. 예를 참고에 ATC와 컨택트를 실시해 상승해 갈 것입니다. 이번은 12000ft로부터 34000ft(FL340)까지 다이렉트로 상승합니다. 그 때문에 MCP ALT를 34000으로 설정했습니다.12000ft에 홀딩되어 있어 VNAV 램프가 사라진 경우는 재차 VNAV를 유효하게 하면 FMS/CDU의 LEGS에 따라서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
 |
11000ft전후로 랜딩 라이트를 OFF로 합니다. 일본에서는 14000ft 그리고 QNH1013(Altimeter 29.92)에 세트 합니다. |
 |
Landing Lights : OFF |
이 근처의 고도로 되면 기체가 빈번히 흔들리는 것도 적게 되며 속도가 상승함으로 상승 핏치 각도가 작아도 상승률은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캐빈사인을 AUTO 또는 OFF에 세트 합니다. 이제 기내에서 걸을 수 있습니다. 기체가 흔들리거나 크게 선회하는 경우에는 다시 캐빈사인으로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
 |
ON→AUTO |
 |
대략 20000ft에 이르면 스로틀 리밋트를 CLB2에서 CLB에 돌려놓습니다. 현재는 CLB2모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한번「2」를 누르면 CLB가 됩니다.이것에 의해서 스로틀 리밋트의 상한이 커집니다. 보다 상승하기 쉬워지겠지요. |
 |
스로틀 Limit : CLB |
 |
EHSI디스플레이입니다.「T/C」라고 씌여진것은 목표 고도로 도달하는 포인트이며, 그 이후의 고도에서는 순항하게 됩니다. |
 |
상승의 마지막인 「T/C」에 도달하면 순항이 됩니다.이것과 동시에 EICAS디스플레이는 ECON가 CLB로부터 CRZ모드로 변경된 것을 확인합니다. 이제 오토 스로틀에 의해 스로틀 출력이 조금 감소합니다. 이후(특히 순항중)는 기수의 핏치 각도가 아닌 스로틀의 출력으로 스피드를 조정하게 됩니다.속도 조정은 MCP의 SPD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만, 이번은 LEGS에 따라서 VNAV속도에 맡겨 둡니다. |
 |
왼쪽 그림는 LEGS페이지입니다.현재는 34000ft를 순항중입니다. KIHOH를 FL340 통과해서 KEC에서는 대략 FL236로 통과하는 것 같습니다.그때까지는 VNAV는 강하를 개시하도록 MCP ALT를 목표 강하 고도로 설정합니다만, 이 기체는 EHSI의 「T/D」에 접근하면, 아마 자동으로 2000ft으로 변경할 것입니다. 이대로 해 두어도 어떤 지점(T/D)에 도달하면 강하합니다만, 만약 자동으로 강하를 개시하지 않으면, MCP ALT를 목표 강하 고도로 설정합니다. |
 |
곧 강하를 개시합니다. 강하 개시 지점은 아래 그림의 EHSI의「T/D」라고 황녹색으로 표시되고 있는 곳입니다.거기를 통과하면 자동으로 강하를 개시합니다만, MCP ALT가 FL330보다 작은 수치인 것이 조건입니다. 이 수치는「T/D」를 통과하기 전에 자동으로 2000ft로 설정될 것입니다. |
 |
20000ft도 무사히 강하해 나갔습니다. 18000ft까지 하강하면 랜딩라이트를 on으로 하고, 지금부터 기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캐빈사인을 각각 on으로 합니다.또한, 메인 패널에 있는 오토 브레이크도 「1」에 세트합니다. |
 |
SEAT BELTS : on NO SMOKING : on |
 |
AUTOBRAKE : 1 |
 |
LEGS 페이지입니다.10000ft 이후는 250노트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설정은 엄밀하게는 VNAV페이지의 SPD RESTR에 「240/10000」라고 입력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만, SPD TRANS에 250/10000 이 미리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10000ft이하에서는 일률적으로 250노트 이하로 비행하게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강하율이 커지면서 약간 250노트를 넘어 버리는 일이 있는데. SPD RESTR에 240/10000라고 여유분을 입력해 두는 방법도 있습니다.어쨌든 속도 제한을 초과할 것 같은 때는 에어 브레이크(스포일러)등을 가동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
 |
대략 고도10000ft이 되었습니다. |
 |
Landing Lights : on |
어프로치의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현재, 고도는 10000ft 이하입니다. 여기부터는 랜딩 준비를 합니다. ATC에 RJBB의 RW06의 착륙 허가를 취해 둡니다. 동시에 그 공항의 ATIS를 수신합니다. QNH(Altimeter) 가 차이가 없는가 확인해 둡니다. 이번은 ILS에 의한 오토 랜딩(자동 착륙)을 실시하기 때문에 트랜스폰더패널에서 ILS주파수와 방위를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
 |
ILS Freq : 108.10 CRS : 058 |
ILS주파수를 입력했으면 다음은 MCP의 LOC(로컬라이저)를 on으로 합니다. 로컬라이저를 캡쳐하기 위해서는 그 공항의 활주로로부터 적어도 일정내의 반경안, 활주로의 방위로 비행기가 놓여져야 합니다. LNAV를 계속 사용할 경우는 RW06까지 유도해 줍니다. 그동안 LOC가 유효하게 될 것입니다. LOC가 자동적으로 캡쳐되어 유효하게 되면 LNAV는 디스엔게이지 되며 LOC에 의한 횡방향의 제어로 활주로까지 유도해 줍니다. HDG방위도 「058」로 변경된 것을 확인합니다. 수직 방향은 VNAV의 제어가 계속 됩니다. LOC가 유효하게 되면 MCP의 LOC 바로밑의 APP를 on으로 합니다. 이제 VNAV는 디스엔게이지되어 세로 방향이 제어됩니다. 이것으로 자동 랜딩이 실현됩니다.
|
 |
펑션모드키의 「INIT REF」를 눌러 「APPRPACH REF」를 선택해 표시시킵니다.「INIT REF」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기체가 어프로치의 단계인 것을 벌써 인식해 「APPROACH REF」가 표시되고 있는 일이 있습니다. |
 |
왼쪽 그림는 INIT REF 로부터 APPROAH REF를 선택해 표시시킨 페이지입니다. LSK3R의 「30도 132KT」를 눌러 scratch pad에 복사합니다. 그리고, LSK4R을 눌러 붙여넣으면 그림과 같이 됩니다. 이것으로 터치다운까지의 최종 속도를 결정했습니다. 플랩 각도가 30, 속도 32노트가 됩니다. |
비행 속도가 감속해 EADI의 스피드 테이프에 황녹색으로 「F」라고 표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 플랩 각도을 1로 내립니다. 그리고, 점점더 감속되면 EADI의 스피드 테이프에 속도에 따라 「F」가 표시되는데 , 거기에 맞추어 플랩을 조정합니다. 최종의「R」에서는 최대의 플랩 각도 30도까지 내립니다. 오른쪽 아래 그림은 플랩을 내렸을 때 EICAS 디스플레이입니다. ECON에서 CRZ로부터 G/A(고우 어라운드)모드로 변경된 것을 확인합니다.
|
 |
FLAPS : DOWN |
윙안티아이스가 OFF인 것을 확인합니다. 엔진 안티아이스는 바깥 공기 대략10℃이하이며 건조하지 않을때 on으로 합니다.
|
 |
WING-ANTI-ICE : OFF ENGINE-ANTI-ICE : As Require |
 |
Gear : DOWN
기어·다운합니다. |
 |
드디어 랜딩입니다. 무사하게 로컬라이저을 캡쳐하면 APP를 눌러 유효하게 될 때까지 기다리며 기체를 VNAV 또는 MCP ALT에 세팅된 적정한 고도까지 내려서 갑니다. 그동안 APP가 유효하게 되겠지요. 만약 캡쳐지점까지 VNAV에 의해서 기체가 강하되고 있지 않으면, MCP ALT 혹은 V/S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것으로 APP가 유효하게 될 때까지 계속 조정합니다. |
 |
VOR Freq :AUTO CRS : 058
|
 |
LAND ALT : 20 |
APP를 on으로해 무사하게 신호를 포착했습니다. 이것으로 오토 랜딩의 준비는 완료했습니다. 속도는 FMC에 설정된 V REF가 EADI의 스피드테이프상의 「R」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터치다운시까지의 최종 속도가 됩니다. 또한 1000~500ft까지 하강시 EADI의 FMA에 「FLARE」, 「ROLLOUT」이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되는가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MCP의 N1/TO/GA를 on으로 해 고우 어라운드입니다. 또는, 오토 파일럿을 디스엔게이지해 수동으로 컨트롤 휠, 스태빌라이져, 스로틀를 조정해 착륙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것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채 랜딩을 계속해 실시하면 착륙 실패합니다. 예를 들어 지상에 내동댕이 치듯이 하드착륙을 하거나 바운드해 버리는 일이 있습니다. 그 만큼이 아니더라도 오토 브레이크가 예정 대로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역추진력과 수동으로 브레이크를 발을 디디게 되어 속도 감속도 복잡하게 되는 것이 예상되며 잇따른 트러블이 따라옵니다. 미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FLARE」, 「ROLLOUT」이 표시되지 않는 문제는 원인은 잘 모르지만 LOC로부터 APP가 유효하게 될 때까지 기체 불안정이 가장 큰 요인이 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VNAV로부터 APP가 유효하게 되는 고도의 타이밍입니다. 또한 LAND ALT의 설정 등에 미스가 없는지도 확인해 둡니다.스태빌라이저트림의 움직임도 확인해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
EADI의 FMA에서 G/S나 LOC가 표시되고 있는 하단에 하얀 문자로 「FLARE」, 「ROLLOUT」라고 표시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이것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는, 비록 착륙 허가를 받도 있어도 고우 어라운드를 추천합니다. |
 |
오토 랜딩에 의해 무사하게 터치다운 하면 오토 브레이크가 유효하게 됩니다. 동시에 스로틀 레버를 후방에 당기는 것으로 역추진력을 걸칩니다. 플래어·롤아웃모드로 오토 파일럿이 계속하고 있습니다만, 터치다운으로부터 대략2초 후에는 오토 파일럿을 디스엔게이지 합니다. 그리고, 러더페달을 조정해 활주로의 센타라인을 유지해 주행합니다. 80~20노트 이내에 오토 브레이크를 해제합니다. 해제하는 방법은 수동으로 브레이크를 발을 디디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오토 브레이크가 해제됩니다. |
 |
A/P : DISENGAGE
왼쪽 그림와 같이 MCP의 CMD 하단에 있는 「DISENGAGE」를 눌러서 오토 파일럿을 해제할 수 있지만, 파일럿이 잡고 있는 컨트롤휠에도 「DISENGAGE」가 부착되어 있음으로 키 조작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스로틀 레버를 후방에 리버스 하는 것으로써 역추진력을 걸치면, 한층 더 감속하는 속도가 커집니다. 또한 에어 스피드 브레이크(스포일러)가 자동적으로 작동합니다. 대략40노트 이내까지 감속하면 스로틀 레버를 아이들에 되돌립니다. 오토 브레이크는 수동으로 브레이크를 발을 디디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오토 브레이크의 효과는 해소됩니다. |
 |
AUTOBRAKE :OFF |
게이트까지 택싱을 실시합니다. 주의할 점은 이륙 전의 택싱과 다르지 않습니다만, 지금까지 고속을 체감 있기 때문에, 무심코 고속 주행해 버리지 않게 주의합니다. 활주로로부터 돌 때도 20~10노트 이내에서 턴 합니다. 칸사이 공항의 중형기 20번 게이트까지 택싱을 실시합니다.
|
 |
TAXI LIGHTS : on LANDING LIGHTS : OFF WING LIGHTS : OFF |
 |
플랩을 UP하고, 에어 스피드 브레이크를 수납합니다. |
 |
FLAPS : UP |
 |
AIR BRAKE : CLOSED |
APU를 가동시킵니다. APU GEN이 on이 되어 있을 것이므로, APU가 기동하면 자동적으로 APU에 바뀝니다. |
 |
APU : START
|
 |
WINDOW HEAT : OFF CARGO HEAT : OFF
|
 |
이번은 8번 게이트에 도착하기로 합니다. 언제라도 정지할 수 있도록 5노트 이내에서 게이트까지 주행합니다. 그리고, 무사하게 도착하면 파킹 브레이크를 걸고 승강구와 카고 도어를 엽니다. 간신히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수고 하셨습니다」라고 하고 싶지만, 앞으로 조금 작업이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 할일은 먼저 엔진을 꺼고 지상설비인 EXT파워로 전환해서 업무 완료합니다. 우선, 승강구를 열고, 캐빈사인을 해제합니다. 이것으로 승객을 내릴 수 있습니다. |
 |
PARKING BRAKE : SET |
 |
SEATBELTS SIGN : OFF |
이미 APU가 기동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여기서 엔진을 껍니다. 따라서, 연료 컨트롤 스위치(엔진 스타트 레버)를 각각 OFF로 합니다. 동시에 안티콜리존라이트를 OFF로 합니다.
|
 |
FUEL CONTROL Switch : CUT OFF |
 |
ANTI-COLISION : OFF
|
무사히 엔진을 껐습니다. 현재 APU가 기동하고 있는 것으로 전원이나 공조 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습니다. 다음에는 APU등의 기내의 각 파워로부터 공항설비인 지상의 EXT(GRD)파워로 전환하도록 합니다.
|
 |
Connect external power Connect external air |
 |
EXT AVAIL : on
EXT를 접속받으면 「EXT GEN」에 「AVAIL」라고 표시되며,그것을 on으로 합니다. 각각 EXT에 접속했지만, EXT에어등이 기내에 닿을 때까지 잠시동안이지만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그 때문에 APU를 곧바로 OFF 하지 말기 바랍니다.
|
여기서 에일러온이나 엘리베이터등이 작동하지 않게 유압 장치를 각각 OFF해 둡니다. 또한, 연료 펌프도 OFF 해 둡니다.
|
 |
EMERGENCY LIGHTS :OFF |
APU를 OFF로 합니다. 이것으로 기내에 공급되는 파워는 모두 지상의 EXT파워가 됩니다. 그리고, APU브리드 스위치도 OFF로 합니다.
|
 |
APU : OFF |
 |
APU BLEED : OFF
|
 |
「수고 하셨습니다」파일럿은 콕핏에서 퇴실했습니다. 이번은 FS2004 「Level-D 767-300ER」라고 하는 애드온을 사용해 B767-300ER의 비행를 실시했습니다. 본 비행에서는, 즐겁기도 하고 바쁘기도 하고 긴장감과 실제감을 매우 즐길 수 있었습니다. 이것들은 참고 정도까지만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번 비행의 조작이 반드시 실제 비행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
